먼저, 저는 논문이라는 것을 처음 읽어 보아 아래 글이 다소 두서 없을 수도 있다는 점 미리 양해 부탁드립니다.
제가 읽은 논문의 출처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dl.acm.org/doi/abs/10.1145/3543873.3587583
Web 3.0: The Future of Internet | Companion Proceedings of the ACM Web Conference 2023
ABSTRACT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Internet, human daily life has become deeply bound to the Internet. To take advantage of massive amounts of data and information on the internet, the Web architecture is continuously being reinvented and upgraded. From
dl.acm.org
이 논문은 <WWW'23 Companion: Companion Proceedings of the ACM Web Conference 2023>에서 4월 30일에 발표한 논문입니다. 주소(https://archives.iw3c2.org/www2023/)곳을 들어 가보시면 이때 발표한 여러 논문들을 만나 보실 수 있습니다.
(Gan W, Ye Z, Wan S, et al. Web 3.0: The Future of Internet [C]//Companion Proceedings of the ACM Web Conference 2023. 2023: 1266-1275.)
본 글에서는 world wide web의 발전 역사, web 3.0에 있는 몇가지 기술들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여러 관점에서의 web 3.0에 대한 설명, 향후 도전과제와 문제점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1. Development History of World Wide Web
Web 1.0 -> Web 2.0 -> Web 3.0 -> Web 3
먼저 World Wide Web은 Web 1.0, Web 2.0, Web 3.0, Web 3 순으로 발전 과정을 이루고 있습니다.
Web 1.0
World Wide Web은 Timothy John Berner Lee라는 분이 제안했습니다. 초기 웹은 그래프와 링크 구성 방식을 기반으로 한 링크 정보 시스템입니다. Web 1.0의 예시로는 sina, net ease, yahoo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주요 기능은 정적인 페이지입니다. 그래서, 사용자는 읽기, 클릭 등 몇가지 간단한 작업만을 수행 가능하여 관심을 갖는 사람이 많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정적인 것을 발전시 켜 Web 2.0이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Web 2.0
Web 2.0은 Brain-stream forum에서 제안되었습니다.
Web 1.0과는 다르게 사용자는 더 이상 정적인 웹사이트의 콘텐츠를 읽거나 다운로드 하는 것이 아닙니다.
Web 2.0은 사용자가 인터넷에 다양한 창작물을 작성하거나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 Web 2.0 아키텍처의 주요 기능은 Interaction이며, 중앙집중화입니다.
Web 2.0은 많은 사람들의 창의적인 열정과 참여를 독려하고있습니다.
예시로는
소셜 미디어로는 페이스북, wechat, 틱톡, 그리고 트위터 등이 있습니다.
비디오 및 음악 웹사이트는 유튜브, bilibili, 그리고 spotify 등이 있습니다. e-비즈니스 플랫폼으로는 아마존, Tmall, eBay, 그리고 Walmart 등이 있습니다.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Web 2.0에서의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은 사용자들이 자발 적이든 아니든 상관 없이 사용자들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해당 Web 2.0 플랫폼에 속 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Web 2.0의 플랫폼은 사용자들의 데이터들을 종합하여 이익을 극대화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유저들이 유저들은 정보를 무엇에 어떻게 사용하는지 모르는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 Web 3.0이 생겨나게 됩니다.
Web 3.0 vs Web 3
그럼 Web 3.0을 설명 드리기 이전에 Web 3.0과 Web 3은 유사하지만 조금 다릅니다.
먼저, Web 3.0 아키텍처는 투명한 것을 추구합니다. 그래서 탈중앙화를 사용합니다. 이전에 나온 John Berners Lee가 지향하는 Web 3.0은 더 지능적인 웹입니다.
그리고 Web 3은 이더리움의 공동 창립자 Gavin Wood가 Web 2.0의 중앙집중화된 서비스들은 각 기 업들의 독점을 일으킨다 말하였습니다. 그래서 아이덴티티 기반의 낮은 수준의 메시지 시스템이 다음 세대의 Web 일거라고 말하였습니다. 이것을 Web 3.0과 구분하기 위해 Web 3이라고 부르기로 하였습니다. 그래서 Web 3.0과 Web 3의 큰 차이는 블록체인을 통 해 탈중앙화 하는 것이 Web 3입니다.
물론 Web 3.0도 블록체인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블록체인을 사용하지 않고 탈중앙화를 성립시켜도 Web 3.0이라고 해도 됩니다. 아직 Web 3.0와 Web 3은 분명하게 구분되어있지 않아있어 저는 논문을 읽으며 이정도로만 구분하기로 하였습니다.
Summary

다시 한번 Web 을 요약하자면
Web 1.0은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하는 경험을 주는 중앙집권적인 Web이고,
Web 2.0부터는 유저도 컨텐츠 창작자가 될 수 있으며, 인터넷 도구를 사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중앙집권적인 Web 입니다. 그리고 Web3.0과 Web3은 유저 생성 콘텐츠 및 유저 생성 권한을 갖습니다.
즉, 유저는 다른 유저와 플랫폼이 볼 수 있도록 허용할 정보와 양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신의 데이터를 진정으로 소유할 수 있게 됩니다.
2. Several Vital technologies within the Web 3.0 architecture
다음으로 Web 3.0의 초석이 되는 기술 몇가지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Semantic Web
시맨틱 웹은 가상 세계의 모든 데이터를 연결하는 것을 목표하는 정보-데이터 웹입니다. 현재의 컴퓨터처럼 사람이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하는 것의 진화인 컴퓨터가 기계들끼리 서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지능형 웹을 의미합니다.
이를 위해서 여러 기술들이 필요합니다. 이중 RDF와 OWL을 잠깐 보겠습니다.
RDF는 메타데이터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인프라를 제공하고 웹 상의 애플리케이션 간의 메타데이터를 교환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다음으로 OWL입니다. OWL은 웹 콘텐츠를 기록하거나 제공하는 리소스 정보를 추가하여 네트워크 리소스를 자동화된 프로세스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입니다.
Artificial Intelligence
Web 3.0 시대에는 디바이스 인식, 콘텐츠 서비스 등으로 매일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생성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데이터와 많은 기술들의 발전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AI가 개발되고있습니다.
AI의 발전으로 Web 3.0이 더욱 지능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으로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고있습니다.
그래서 AI 개발이 진행됨에 있어 공정성과 비차별이 중요할 것이라고 합니다.
BlockChain
먼저, 블록체인 기술은 분산화, 신뢰성, 자율성, 익명성, 변조방지 및 감사 가능성의 장점이 있습니다.
이런 성공의 예시로 이더리움이 있습니다. 이더리움은 스마트 계약을 사용하고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악의적인 공격으로부터 보호 될 수 있습니다. 이를 블록체인의 분산화를 평가하기 위한 여러 지표들은 다른 논문에 제안되었습니다.
하지만, 아직 블록체인은 탈중앙화, 개인정보 보호, 확장성 3가지를 모두 만족하며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답니다.
Decentralized Storage
분산형 저장소는 Web 3.0 아키텍처의 필수 부분은 아니지만 중앙화 보다 이를 사용하면 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의 데이터 자율성을 실현하여 적절한 이익 분배를 하기 위해 IPFS와 CephFS 기술이 사용됩니다.
IPFS는 미래에 HTTP를 대체 할수있는 p2p 분산파일 시스템입니다. 이것은 http보다 사용자가 버전관리하기 용이하며 보안이 더 좋습니다. 그리고 리소스 저장 및 다운로드 서 비스 제공에 대해 사용자에게 보상하기위해 BitSwap 프로토콜을 도입하여 사용자가 데 이터로부터 이익을 얻게끔 보장합니다. 그리고 CephFS는 RADOS 클러스터 부분이 핵심입니다. 이 클러스터는 OSD, 모니터 클라 이언트로 구성됩니다. OSD는 데이터 저장 및 유지관리에 사용되는 저장 노드입니다.
이를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의 균형을 동적으로 재조정하여 호스트 간의 데이터를 균등하 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단일 중앙 제어 구성 요소에 의존하지 않아 높은 확장 성을 갖고 있습니다. Web 3.0에서의 분산형 저장소는 보상 메커니즘과 함께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점점 일반화 되고 있습니다.
Edge Computing
데이터 및 네트워크 트래픽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전세계의 데이터의 총량이 매우 많아 졌습니다.
따라서 거대한 데이터 스트림의 영향으로 모든 데이터 처리가 원격 서버에 배치됨으로써 네트워크, 컴퓨팅 리소스 등에 큰 부담이 됩니다. 이를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일부 완화할 수 있지만, 모두를 부담하기는 어렵습니다.
엣지 컴퓨팅의 주요아이디어는 컴퓨팅, 저장소, 의사결정과 같은 핵심 기능을 데이터를 생성하는 엣지 장치에 가깝게 마이그레이션 하는 것입니다. 엣지 컴퓨팅은 데이터 소스에 가까울수록 데이터처리와 분석이 빠르고, 비용이 저렴하는 등의 많은 이점이 있습니다. 또한 네트워크 전송과정에서 위험을 피할 수 있어 클라우드 컴퓨팅에 비해 보안 측면에서도 향상되었습니다.
이를 Web 3.0에 적용하면 엣지 디바이스의 잠재력을 효과적으로 발굴하고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3. Revolution & benefits of Web 3.0
다음으로 여러 관점에서의 Web 3.0을 보도록 해보겠습니다.
Application and Business
Web 1.0은 웹 포털과 검색엔진 두가지로 나눠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 Web 1.0
Web Portal

Web 1.0에서의 웹 포털은 지식 공유를 하기위해 시작되었으며, 예시로는 Sina와 야후가 있습니다. 이 웹 포털은 온라인에서 지식을 디지털화 하여 클릭을 통해 수익을 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Search Engines

검색 엔진에는 구글과 baidu가 있습니다. 유저의 질문을 가능한 정확히 답변하려고 하며, 유저간의 공유는 없습니다. 마치 인터넷상의 도서관처럼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거나 분류합니다. Web 1.0은 이전에도 말씀 드렸다싶이 모두 호스트 권한의 컨텐츠 생성입니다. 유저는 웹 사이트에서 제공받은 것들만을 읽을수있습니다.
- Web 2.0

인터넷이 발전함에 따라 인터넷 사용자는 많아졌습니다.
그래서 Web 2.0은 Web 1.0과 다르게 호스트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유저가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에서 컨텐츠를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유저와 플랫폼이 돈을 벌게 되었습니다.
Web 2.0의 성공을 보기위해 표를 보시면
먼저, WeChat은 영상 통화, 그룹 채팅 등 여러 기능으로 인해 이동통신사의 기존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어느정도 대체하며, 아시아 지역에서 인기가 매우 높습니다. 그리고 트위터는 현재 소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정보 공유 플랫폼이며 전세계 에 그리드한 커뮤니티를 형성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IOS를 보시겠습니다. IOS는 애플이 개발한 모바일 장치 시스템입니다. IOS와 Android는 Web 2.0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도구입니다. 하드웨어 연구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인해 web 2.0의 응용 프로 그램은 Web 1.0의 웹사이트보다 더 강력하고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이 생활을 편리하게 하고 인터넷 없이 사는 삶을 상상할 수 없게끔 만들어 놓았습니다.
- Web 3.0

코로나19 발생 이후 디지털 경제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큰 기업들이 독점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온라인 플랫폼 독점을 풀기위한 과제에 직면하였습니다.
Web 2.0 애플리케이션은 제품보다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그래서 데이터 소유권에 대해서 굉장히 모호해졌습니다. 그리고, Web 2.0 회사는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를 사용하여 돈을 벌고 있습니다.
어떤 논문에서는 인터넷 내 디지털 윤리 및 개인 정보 보호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Web 3.0은 새로운 디지털 경제를 만들고 있습니다. 새로운 비지니스 모델을 통해 플랫폼 독점을 해결하고자합니다. Web 3.0 애플리케이션은 블록체인 플랫폼 이나 많은 Peer-to-Peer 서버에서 호스팅되는 관련 분산 시스템과 같은 분산 네트워크에 배포됩니다.
Status는 비공개 통신을 제공하는 보안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입니다.
WeChat과 다르게 P2P 기술을 사용하여 제 3자가 사용자의 통신 데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데이터가 플랫폼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 크롤링, 검열과 같은 잠재 적인 공격 위험이 있습니다. 그래서 status는 유저가 선택적으로 드러내고 싶은 부분만 드러낼 수 있도록 합니다. 특히 status는 오픈 소스프로젝트라서 애플리케이션이 악성인 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eemit는 사용자에게 콘텐츠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기위해 암호화폐를 사용하는 애플리 케이션입니다.
EOS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데 핵심 기능을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운영체제입니다. EOS는 Window와 유사한 시스템 아키텍처를 사용하며, 퍼블릭 체인에서 실행됩니다. 따라서 장치에 EOS를 연결할 수 있는 브라우저만 있으면 됩니다.
Culture and Artwork
Web 3.0 아키텍처에서의 문화 생성은 매우 투명해졌습니다.
그리고 누구나 자유롭게 공동 창작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때, 각자의 기여도가 명확하기 때문에 수익과 저작권의 분배도 간단합니다.
Web 3.0은 분산형 네트워크이기때문에 모든 노드는 P2P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작자가 제품을 판매하는데 도움을 주는 제3자 에이전트나 플랫폼이 필요하지 않습니다.이로 인해 창작자의 수익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옵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Web 3.0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결합하여 개인화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문화유산 같은 것들은 Web 3.0의 기술로 디지털화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더 많은 이용자의 참여 열정을 활성화 하고 문화 유산의 활력을 되살릴 수 있다라는 장 점이있습니다.
User Experience
이번에는 유저 경험을 호환성, 무허가성 가용성 측면에서 살펴보겠습니다.
- Compatibility
서로 다른 Web 2.0 애플리케이션은 제품 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균일한 형식, 일관되지 않은 데이터 등과 같은 것을 맞추지 않으면 문제가 일어납니다.
하지만 Web 3.0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표준화된 API를 제공합니다.
Web 2.0과 Web 3.0은 어느정도 호환이 되는 새로운 통합 에코 시스템입니다.
Web 3.0의 Ceramic network를 사용하여 여러 상황에서도 재사용 가능한 데이터를 활성화 하려고 시도합니다.
Web 3.0 내의 유니크한 디지털 지갑은 유저의 인터넷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조정되어 여러 이점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Web 3.0 사용자는 장치를 교체할 때 발생하는 데이터 손실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Ceramic Network : 구성 가능한 Web 3.0 데이터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여러 시나리오에 재사용 가능한 데이터를 활성화하려고 시도합니다.)
- Permissionless
Web 3.0에서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더 이상 온라인 플랫폼이나 정부에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산 및 메타데이터를 완전히 제어할 수 있으며, 개인의 의사에 따라 서비스 제공 옵션으로 허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허용된 정보를 얻기 위한 권한만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때 유저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POD에 기록됩니다.
사용자 데이터는 더이상 어떤 플랫폼에도 제한되지 않지만 플랫폼이 요청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자가 제공해야 할 것은 사용자 개인 키입니다.
(POD :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개인 서버 또는 타사 플랫폼에서 호스팅하는 방식으로 구축)
- High availability
많은 양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새로운 네트워크를 요구합니다.
Web 3.0의 애플리케이션은 좋지 않은 환경에서도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인간과 기계 사이의 인터페이스의 구조를 이해할 필요를 없애줍니다.
또한 해결하기위한 문제를 기계에 입력하는 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없게 해준다는 높은 가용성인 측면이 있다.
Metaverse
들어가기에 앞서 “meta”는 시작, 중요, 소비를 뜻합니다.
메타버스는 가상과 현실세계의 혼합입니다.
Web 3.0의 아키텍처는 낮은 수준의 메타버스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게 보조할 수 있습니다.
- Education and Training
가상 교육환경은 교육자가 학생을 가르치는 능력을 용이하게 해줍니다.
- Entertainment
엔터테이먼트 측면에서는 메타버스에서의 비지니스는 공간과 시간적 제한을 해결하여 시장에서의 성공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Security and privacy
먼저, Web 3.0 아키텍처는 데이터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즉, 유저들의 데이터는 분산된 ID를 통해 많은 사이버 범죄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메타버스는 스마트시티, 사회활동, 경제 들을 엄청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The Seven Rules of the Metaverse
1. Metaverse should be unique.
2. Metaverse should serve everyone.
3. Metaverse is not controlled by anyone.
4. Metaverse should be open to everyone.
5. Metaverse should be hardware independent.
6. Metaverse plays as an accessible network.
7. Metaverse can consistently be self-upgraded.
Relation between Metaverse and Web 3.0
메타버스와 Web 3.0은 생산력과 생산 관계에 유사합니다.
즉 메타버스가 새로운 생산력을 가져오면 Web 3.0이 새로운 생산 관계를 만든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Web 3.0은 제품들의 관계가 데이터 소유권, 신뢰 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그렇게 Web 3.0은 메타버스의 발전을 지속적으로 촉진시킬 것입니다.
AI Generated Content
먼저, AI는 신뢰할 수 있는 지능적인 비서일 뿐만 아니라 Web 3.0내에서 인터넷 세계를 풍부하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
AI 도구는 이전보다 10배 빠르고 10배 적은 수동작업으로 여러 작업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Web 3의 목적이 독점으로부터 창작자의 데이터 소유권을 보호하는 것이지만, 현재 대부분의 온라인 플랫폼은 개인 트래픽을 유도하여 수익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Web 3이 막아줄 것이라고 봅니다.
4. Existing or Emerging Challenges and issues of Web 3.0
Socialization
사이버 공간은 우리가 우리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며 소통할 수 있는 좋은 공간을 제공합니다.
자신의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다른사람들의 반응을 얻기를 기대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것들은 이상적인 것이고,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사이버 공간에서의 사교활동은 소문 유포, 인종 차별, 테러 등 여러 심각한 문제를 일으킵니다.
Web 3.0을 사용하는 Steemit을 보면, 유저가 가치있는 게시물을 만들거나 찾도록 하기위해 보상을 사용하지만 이것이 그룹 행동으로 보면 문제가 됩니다. 따라서 사회적 측면 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Independence
Web 3.0이 Web 2.0아키텍처를 완전히 버릴 수 있냐고 묻는다면 현재는 아니라고 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현재 소셜 미디어와 네트워크 프로토타입은 이미 존재합니다. Web 2.0을 사용함 으로써 사람들의 삶은 훨씬 풍요롭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갑자기 Web 3.0을 사용하 라고 하면 습관을 바꾸고 새로운 제품을 받아들이는 것이기 때문에 어렵다고 봅니다.
Steemit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Steemit은 본질적으로 트위터의 기능과 크게 다르지 않습 니다. 하지만, 차이점은 Steemt은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고, 트위터는 팔로워를 늘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Web 3.0 애플리케이션의 많은 기능들은 완벽하지 않으며 Web 2.0 아키텍처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이로 인해 Web 2.0의 의존도가 아직까지도 이어져오 고있어 이를 해결해야합니다.
Finance and Crime
Web 3.0에선 탈중앙화 금융 상품들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품들은 모두 중앙화 된 기존 금융 시스템의 제약을 깨뜨리고 있습니다. 분권화 된 금융 서비스는 더욱 개방적이고 투명하며 상호 운용 가능합니다.
Web 3제품은 고유한 암호화폐를 기반으로 합니다. 많은 거래는 암호화폐를 통해 이루어 집니다. 확실히 사용자 간의 모든 거래는 블록체인과 스마트 계약의 도움으로 검증가능 합니다.
이러한 거래가 진행되기 위한 핵심 전제는 신뢰성입니다.
하지만 최근 FTX 거래소 문제와 Luna 코인의 파산은 암호화폐가 신뢰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용이 많이 들여 해결해야할 문제입니다.
Governance and Organization
Web 3.0은 데이터 소유권 문제를 해결하고 데이터 보호를 촉진할 수 있는 동시에 부의 격차, 자금 세탁과 같은 문제를 야기합니다.
Web 3.0에서는 많은 암호화폐를 보유한 사람이 새로운 독점자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오래된 독점 기업은 부로 인해 선점자 이점을 갖고 있습니다.
이는 Web 3의 목표를 해결하지 못합니다.
또한, 경제 범죄 단속 등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직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Law-making
비트코인의 출현은 기존 금융시스템과 통화 발행에 대한 정부의 통제를 흔들었습니다. 이를 통제하기 위해 국가는 분산형 금융활동을 규제하기위해 다양한 조치를 했습니다. 하지만 아직 현재의 법률은 이를 모두 해결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Web 3.0 아키텍처 내에서 어떻게 공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을지에 대한 충분한 논의와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한다고 합니다.
5. Conclusion
차세대 웹 Web 3.0에 대해 사람들은 항상 논쟁과 불일치로 가득 차 있으며 다양한 시대의 사람들에 의해 보완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분권화라는 것은 쉽게 저주로 바뀔 수 있다고 합니다.
Web 3.0은 분산화를 강조하고 권한을 사용자에게 위임합니다. 이는 좋은 취지이지만 일부 규제의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은 Web 2.0과 Web 3.0이 공존하고 있지만,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고 좋은 아이디어와 발전된 기술들을 통해 Web 3.0의 상대적 평등을 달성하고 Web 2.0에서는 볼 수 없는 뛰 어난 시각화 기능을 달성하여 제가 생각치도 못한 Web 3.0이 세상에 나오면 오면 좋겠네요.
저의 이리저리 작성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Journ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ference vs Journal (2) | 2023.10.27 |
---|